한때 코스피 지수가 3000을 돌파하면서 동학개미운동의 열기가 엄청나게 뜨거웠던 적이 있습니다.
작년이나 올해 주식 시장에 처음 발을 들이신 분들은 주식 시장에서 '세력'이라는 개념을 처음 접하게 되셨을 것입니다.
세력이란 주가를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을 만큼의 자본을 가진 집단을 뜻합니다.
현재 개미라고 불리는 많은 개인투자자분들께서 우려하고 계신 것이 바로 '공매도'입니다.
지금까지 한국 주식 시장에서 세력들이 공매도로 의도적인 주가하락을 발생시킨 사례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 '공매도'가 무엇이길래 세력들은 주가가 떨어지면 돈을 벌게 되는 것일까요?
공매도(空賣渡)란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을 미리 빌려서 팔고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인 주식을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입니다.
예를들어 1,000원짜리 사과가 있는데 이 사과의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사과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가진 사람에게 10개를 빌려 다른 사람에게 1,000원에 팔았습니다.
이후 예상대로 사과의 가격은 하락했고 저는 500원에 사과 10개를 사들여 빌린 사람에게 갚았습니다.
그렇다면 저는 사과를 빌려 10,000(1000x10)원을 벌었고 빌린 사과를 5,000(500x10)원으로 갚았으니 5,000원이라는 차익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사과가 500원이 아니라 300원, 100원이라면 저는 더 큰 이득을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주가가 떨어지면 떨어질 수록 돈을 벌게 되는 공매도의 원리인 것입니다.
저는 바로 윗 문단에서 공매도는 주가가 떨어지면 떨어질 수록 돈을 버는 구조라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한국 주식 시장에서 개인투자자들이 공매도에 대한 반대 의견을 내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쉽게 요약하자면 기관이나 외인들은 주가가 하락한다에 베팅하는 공매도를 할 수 있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주가가 하락할 것을 알아도 그저 지켜보거나 자신이 가진 주식을 파는 행동밖에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인맥이나 자본을 가진 세력들은 의도적으로 어떤 주식에 대한 안좋은 소문을 퍼뜨려 주가 하락을 유발한 뒤 공매도 포지션으로 이익을 챙길 수 있지만 개인들은 그것을 지켜보기만 해야합니다.
심지어 주식을 빌리지도 않고 매도를 해버리는 무차입 공매도는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암암리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적발당한다 하더라도 미국처럼 엄청난 처벌을 받는 경우가 상당히 드물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가 가격 하락을 요구한다고 해서 무조건 단점만 갖고 있는 제도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생각하기에 너무 고평가 되었거나 말도 안되는 가격에 거래되는 주식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주식을 공매도 함으로써 주식 시장에 대한 투자자의 의견을 표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그와 동시에 주가가 하락한다면 이익을 챙길 수도 있겠지요.
또 위험의 헷징(hedging)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인버스 레버리지 ETF 상품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식시장에서 하락이 발생하더라도 이익을 챙김으로써 발생한 리스크를 모두 껴안아야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결론
현재 정치권에서는 공매도 재개 여부를 두고 많은 검토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홍준표 후보는 공매도 금지를 공약으로 내세우기도 했죠.
최근 주식시장에 유입된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는데, 공매도를 재개한다면 이들의 표심을 얻지 못할까 걱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제 개인적인 의견은 공매도는 재개되어야 한다는 쪽입니다. 그것이 세계 주식 시장의 스탠다드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앞서 언급한 것 처럼 개인도 공매도를 쉽고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의 공매도가 시행된다는 것과 외인과 기관의 대차기한에 확실한 제한을 두어야 한다는 전제가 설정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서 공매도가 재개된다면 다시 한 번 한국의 주식시장은 기관과 외인들의 놀이터가 될 것이고 개인 투자자들은 주식 투자라는 행위에 회의적인 시각을 갖게 될 것입니다.
대한민국의 경제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주식시장이 더욱 활발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전해지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이상으로 공매도 쉽게 알아보기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타.. 한없이 물타... 주식 용어 물타기/불타기 알아보기 (0) | 2021.10.28 |
---|---|
주린이 주목! 코스피 개장시간과 동시/단일호가 알아보기 (0) | 2021.10.28 |
주식 투자 기초 용어 [단타, 스윙, 종베, 장투] 알아보기 (0) | 2021.10.28 |
워렌 버핏이 죽어서도 돈을 묻겠다고 한 S&P 500. 국내 ETF 정리 (0) | 2021.10.28 |
숏충이? 롱스톤? 주식, 코인 용어 롱/숏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0.28 |
댓글